· 매년 예산배정에 따라 투자금액이 결정되는 등 공급자 위주 투자정책에서 탈피하여 시장수요를 반영한 회수재원의
재순환 방식으로 안정적 벤처투자재원 공급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「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」에 근거하여
2005년에 결성되어 운영 중
· 정책효율성 제고를 위해 투자재원 공급은 정부가 하되, 투자의사결정은 전문기관 "한국벤처투자㈜"가 담당
결성일 | 2005년 7월 15일 |
---|---|
Limited Partners |
중소기업진흥공단 문화체육관광부 특허청 영화진흥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국민체육진흥공단 교육부(2017년 신규가입) 환경부(2017년 신규가입) |
펀드 규모 | 3조 4,182억 원(2017년 8월말 기준) |
운용기간 | 30년 (2005년 ~ 2035년) |
주 출자 분야 |
(중진계정) 창업초기, 지방기업, 부품소재, M&A등에 투자하는 펀드 (엔젤계정) 엔젤매칭투자조합 등 엔젤 투자 활성화를 위한 펀드 (지방계정) 지방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펀드 (문화계정)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 의한 문화산업에 투자하는 펀드 (관광계정)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업 등에 투자하는 펀드 (스포츠계정) 스포츠산업진흥법 상 스포츠산업 산업에 투자하는 펀드 (영화계정) 한국영화 등에 투자하는 펀드 (특허계정) 발명진흥법에 의한 발명활동의 진작과 발명성과의 권리화 촉진, 우수 발명의 이전알선과 사업화 등 특허기술사업화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(과기계정) 방송법, 전기통신사업법, 인터넷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에 근거한 방송, 인터넷 멀티미디어, 전기통신역무제공 및 서비스 등 방송통신사업분야에 투자하는 펀드 (보건계정) 보건산업에 투자하는 펀드 |
운용기간 | 한국벤처투자㈜ |
• 정책적 산업 육성, 일자리 창출, 중소 ·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투자재원 공급
• 출자자별 별도계정 운영 및 회계 분리로 출자기관 독립성 유지
• 정책자금의 투자승수 효과 (약 4배)
• 존속기간 5년~ 7년, 매년 30개가량 신규결성
• 혁신기술사업, 창업초기기업, 비상장 중소기업 등에 주로 투자
• R&D 자금, 제품개발 자금, 양산설비 구축 자금 및 운전자금 등으로 활용
• 자펀드 투자자산에 투자수익 실현가능
• 코스닥 상장(장내매각), M&A, 장외 매각 등을 활용